6월 19일 상한가를 찍은 종목들
주식 매매를 하시는 분들은 아시는 겠지만, 주식 매매법에는 정답이란 건 없습니다.
하지만, 공부와 경험을 통한 매매법을 통해서 본인 만의 원칙을 가지고 매매를 하면, 승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저는 기본적 분석/ 모멘텀/ 차트 분석 여러가지를 공부를 하고 경험 했는데, 매매법이란게, 복잡 하면 복잡 할 수록
매매를 할 수가 없습니다. 항상 올라갈 가능성도 있고, 떨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 입니다.
그래서 저는 최대한 심플하게그래도 가장 확률이 높은 좋목을 찾아 매매를 해왔습니다.
오늘은 제목에서 이야기한 전일 상한가을 찍은 종목 매수 타점을 가장 심플하게 잡을 수 있는 매매법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1 힘있는 종목
전일 상한가 종목 중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높을 수록로 확률이 높습니다.
주식은 힘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힘이 좋은 곳에서 매매을 해야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피해야 할 종목
투자 경고나 환기 종목을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3 수급이 있는 종목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가 함께 존재하는 종목이면, 가장 안심이 됩니다.
4 모멘텀
여기에 모멘텀이 있으면 정말 더 좋겠죠. 왜냐하면, 주식 가격을 올릴 이유가 있는 종목이니까요.
모멘텀 없이 올라가는 종목들은 우선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5 다음날 매수 타점
- 위에 4번까지를 충족하고, 다음날 조정을 25%~50%정도 받았다면, 매매 가능성이 있습니다.
- 보통 4등분선으로 75%까지 조정을 받았을 때, 매매 하기도 하는데,,,
조정이 너무 깊으면, 다시 가격을 올리기가 쉽지 안하서, 세력들이 보통 조정을 어느 가격대까지는 지켜줍니다.
6 손절과 손익 매도
매매에서 손절을 안하고 존버만 한다면, 존버를 10개도 넘게 존버하는 종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원칙을 지키는게 중요합니다. 오늘 소개한 상한가 매매는 수익률도 높고, 손절도 깊습니다.
-만약 매매를 조정 25%에서 했다면 손절은 50%를 넘으면, 손절하고, 매도는 위로 50%를 목표로 합니다.
-매매를 50% 조정에서 했다면 손절은 75% 매도는 위로 또 50~60%정도로 합니다.
-그리고 조정 75%에서 타점을 잡았다면, 0%를 넘어가면 손절하고, 매도는 마찬가지로 위로 50%정도로 잡습니다.
보통 이렇게 조정을 받는 경우 하는 매매를 눌림목 매매라고도 합니다.
지금 이야한건 에를 들어서 이야기 한 것입니다. 이런 형식으로 전날 상한가 양봉을 기준으로 조정을 통해서 매매 타점을 잡으시고, 본인 만의 원칙을 세워서 가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