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및 수능 영어 에서 that을 구분 하는 방법 [관계대명사, 접속사, 동격, 지시대명사]
1 관계대명사
They are temporary activities that can attract large numbers of outsiders.
그것들은 일시적인 행동들 입니다 많은 외부 인들을 끌어 들일 수 있는.
(2018년 11월 고1 영어 모의고사 지문)
1) 관계대명사는 우선 앞에 선행사가 있어야 합니다. 말 그대로 대명사 이기 때문에 명사가 없이 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2) 관계 대명사는 뒤에 있는 문장이 불안전 문장이어야 합니다. 즉 대명사 역활이기 때문에 뒤에 문장에서 주어 또는 목적어 또는 보어의 역할이 되어야 합니다.
2 접속사
Surveys show that around a third to two-thirds of all retail prices now end in a 9.
조사는 보여 줍니다 모든 소매 가격의 2/3 정도가 9로 끝난 다는 것을. (2018년 11월 고1 영어 모의고사 지문)
1) 접속사 that은 우선 앞에 선행사가 없습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경우 이기 때문에 대부분 목적어 역할이라서 동사의 목적어가 되기 때문입니다.
2) 뒤에 문장이 완전 문장이어야 합니다. 즉 명사절이 되기 위해서 뒤에 문장이 내용이 완성된 문장이 되어야 합니다.
3 동격
The fact that she had to leave everything she knew broke her heart. 그 사실 즉 그녀가 아는 모든 것들을 떠나 보내야 하다는 것이 그녀의 마을에 상처를 주었다. (2018년 11월 고1 영어 모의고사 지문)
1) 앞에 선행사가 있습니다.
2) 뒤에 문장이 완전 문장이어야 합니다.
많은 학생들이 동격이 that을 많이 어려워합니다.
이렇게 생각 하시면 됩니다. 앞에 선행사를 설명하고 싶은데, 완전한 내용으로 설명하고 싶다. 그런데 명사로 동격을 대신하지 않고, 내용이 있는 문장으로 활용 하고자 할 때 동격 that을 쓴다. 즉 명사 대신 명사절을 썼다고 생각 하면 되겠습니다.
4 지시 대명사
지시 대명사는 위에 세가지 내용과는 완전 별개입니다.
그래서 this that it 이라는 지시 대명사 중 그것이라는 의미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두 문장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활을 담당합니다.
정리하면, 이거만 기억하자
1 관계대명사 that: 앞에 선행사 + 뒤에 불완전 문장
2 접속사 that: 앞에 no 선행사 + 뒤에 완전 문장
3 동격 that: 앞에 선행사 + 뒤에 완전 문장